What Type of a Title Do I Hold?

What Type of a Title Do I Hold?
What Type of a Title Do I Hold?
Gen 47:1-10, 1Chr 29:15

Standing before Pharaoh of Egypt, Jacob reveals his life of 130 years as the “years of pilgrimage.” Also in today’s Scripture text, 1Chr 29:15, David referred to our lives before God as “foreigners and strangers.” As you can see, many biblical figures held a title of a “sojourner” while they lived as temporary tenants in this earth. In Mt 25:43, Jesus also referred to his life on this earth as a “stranger.” If so, what type of a title do you saints hold while you live on this earth?

I. We are sojourners and foreigners on this earth
Today’s Scripture text referred to our lives on this earth as a “shadow without hope.” Hence, the saints on this earth hold a title of a stranger and a foreigner. First, Jesus said he lived as a stranger in this land (Mt 25:25-43). Jesus wandered everywhere as a stranger with no place to lay his head when even the foxes have dens and birds have nests. This shows how people coldly treated Jesus the Creator. People also called Jesus the “prince of demons” (Mt 12:24). They said Jesus was able to drive away demons only because he was strengthened by Beelzebul. His family also said Jesus was “out of his mind” (Mk 3:21), and the fellow Jews accused him of “subverting others” in Lk 23:2. No wonder Jesus was treated poorly as a stranger while he lived on this earth, and had no place to be buried after his death that he was disgraced to be buried in the tomb he borrowed from Joseph of Arimathea. Who is Jesus? Isn’t He the God Incarnate who came to earth to save us? Because people called him a “sojourner” (Lk 24:18), Jesus’ title on the earth became the “sojourner.” In the Hellenistic world during that time referred to a sojourner as “Xenos (ξένος).” This word has a meaning of a “foreigner,” a “tenant” and a “guest.” Thus, the title given to Christians in the world is a “sojourner” and a “foreigner.” Moses also received a hard training while he settled as a foreigner in the wilderness of Midian for 40 years (Acts 7:29), and Apostle Paul also dedicated to preach the gospel while he earned the nickname “plague.” However, we have hope in this earth because our citizenship is in heaven because we live as aliens in this earth. Although we may be treated unfairly as aliens and foreigners in this earth, we have hope as citizens of the eternal kingdom of heaven that neither our flesh nor spirits will perish forever but will transfigure (Php 3:20-21).

II. We live as pilgrims in this world
It is stated in Heb 11:13 that all forefathers of faith were recorded as “foreigners and strangers” on this earth. Moreover, Peter encouraged then as he referred to the saints living in this earth as the “exiles” and “the “foreigners” in 1Pet 1:1 or 2:11. The Greek word for a “sojourner” is “parepidemos (παρεπιδήμους)” which means a person who “dwells near the natives,” a “foreigner” and an “alien.” As you can see in the Bible, the saints in this earth always have a negative name called a “stranger” attached to them. However, there are several things we can understand through this. First, this world is temporary for us believers. Those who realize this and live in the hope of eternal heaven will not be crushed even though they are hard pressed on every side nor will they be in despair even though they encounter perplexed situations (2Cor 4:8). Second, we the saints are essentially the ones that are “on the path.” We must not forget the fact that our flesh is here in this world, but our spirit is enrooted in heaven. Those who seek only for the place of future, be sure of its true existence, and live this world with a hope are the ones who walk the path of a pilgrimage. Didn’t Abraham the father of faith confess that he had no place to put his heart in this world so he walked on the path of pilgrimage as he longed for the eternal city? (Heb 11:8-16). Third, the saints should never be the ones that disdain, disregard this world or escape pessimistically from this world. Because we know that God gave this world to us as the “cradle of life,” we should always ponder how we should glorify God through this world. Lastly, our path as a sojourner was planned by God. Hence, we must march forward with clear definition and purpose of life. The month of April is almost gone when the thrill of welcoming the new year of 2020 is still vivid. However, the fact that a day has passed means that we are closer to homeland. For the remainder of journey of our pilgrimage to our homeland, we must let go of what is to be discarded and grasp onto what is to be captured. I sincerely hope that all of you saints will let go of this world and grasp only onto God.

Conclusion:
Jesus said in Jn 14:1, “There are many rooms in my Father’s house.” On our pilgrimage to our Father’s house, we are just passing through the bridge. There are only sojourners who would pass through the bridge called “world.” Who would build a house and settle down there? It is stated, “They are like a breath; their days are like a fleeting shadow” (Ps 144:4). Even though we live painful and pitiful lives here on earth as sojourners, we have the remaining days of our lives to head home to the eternal place that our Father has prepared for us. I sincerely hope that all of you to not get discouraged but hope for this eternal place and make the most of every opportunity today to march confidently as sojourners.

나는 어떠한 이름을 가지고 있는가?
창 47:1-10, 대상 29:15

애굽 왕 바로 앞에 선 야곱은 자신의 130년의 삶을 ‘나그네 인생’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오늘 본문인 대상 29:15에서 다윗도 주 앞에서의 인생들의 모습을 “나그네요 우거하는 자”라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성경의 많은 인물은 이 땅에서 사는 동안 ‘나그네’라는 이름을 가지고 잠시 우거(寓居)하는 자로 살았던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도 마 25:43 말씀을 보면 이 땅에서의 당신의 삶을 ‘나그네 삶’이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성도 여러분들은 이 땅에서 어떠한 이름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습니까?

1. 이 세상에서 나는 나그네요 외국인입니다.
오늘 본문은 이 땅에서의 인간들의 삶을 “그림자같이 머무름이 없는 삶”으로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땅에 사는 성도들은 나그네요 외국인이란 이름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입니다.
첫째, 예수님께서는 이 땅에서 나그네 생활을 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마 25:25-43). 여우도 굴이 있고 공중에 나는 새도 깃들일 곳이 있지만, 예수님께서는 머리 둘 곳도 없을 정도로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나그네 신세가 되었던 것입니다. 이는 창조주 되신 예수님을 사람들이 얼마나 푸대접했는가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예수를 가리켜 ‘귀신의 왕’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마 12:24). 그가 바알세불을 힘입어 귀신을 쫓아낸다는 것입니다. 또한 친척들은 예수를 ‘미쳤다’(막 3:21)고 하였으며, 눅 23:2에서는 예수를 가리켜 ‘미혹하는 자’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니 예수님은 이 땅에 계실 때도 나그네로서 푸대접을 받고, 죽으신 다음에도 당신 몸 하나 묻히실 곳이 없어 아리마대 요셉의 무덤을 빌려서 장사지내는 수모를 당하셨던 것입니다. 그분은 누구입니까?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이 땅에 육을 입고 오신 하나님이 아닙니까? 그분을 가리켜 사람들은 ‘붙어사는 자’(눅 24:18)라 하였으니, 이 땅에서의 예수님의 이름이 ‘나그네’가 되었던 것입니다. 당시 헬라 세계에서는 이러한 나그네를 가리켜 ‘크세노스’라 불렀습니다. 이 말은 ‘외국인’, ‘붙어사는 자’, ‘객(客)’ 등의 뜻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세상에서 우리 기독 신자들에게 주어진 이름은 바로 나그네요 외국인입니다.
모세도 미디안 광야에서 나그네로서 40년간 지내면서 연단을 받았으며(행 7:29), 사도 바울도 ‘염병’이라는 별명까지 얻어 가며 복음을 전하는 데에 전념하였던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소망이 있는 것은 이 땅에서 나그네로서 살기 때문에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다는 것입니다. 비록 이 땅에서는 나그네로, 외국인으로 멸시를 받으며 살지 모르지만, 우리는 영육 간 죽지 않고 변화하는 영원한 하늘나라 시민으로서의 소망이 있는 것입니다(빌 3:20-21).

2. 이 세상에서 나는 순례자로서의 삶을 사는 자입니다.
히 11:13 말씀을 보면, 믿음의 선진들은 이 땅에서 “외국인과 나그네로라 증거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벧전 1:1이나 2:11 말씀 볼 때, 베드로 기자는 이 땅에 사는 성도들을 가리켜 ‘나그네’와 ‘행인’으로 부르며, 그들을 권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된 ‘나그네’의 헬라어는 ‘파레피데모스’인데 이는 ‘고향에서 쫓겨난 자’, ‘외국인’, ‘행인’ 등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처럼 성경을 볼 때 이 땅에서의 성도들은 ‘나그네’라고 하는 좋지 못한 이름이 늘 붙어 다닙니다.
하지만 이 말씀을 통해 우리가 깨달을 수 있는 것은 첫째, 우리 믿는 사람들에게 있어 이 세상은 임시적이라는 것입니다. 이를 깨닫고 영원한 하늘 처소를 소망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사방으로 우겨 쌈을 당하여도 싸이지 않고,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치 아니합니다(고후 4:8).
둘째, 우리 성도는 본질적으로 ‘길 가는 도중에 있는 자’라는 것입니다. 몸은 ‘여기’라고 하는 세상에 있지만, 그 뿌리는 ‘하늘’에 있다는 것을 망각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오직 장차 올 곳을 찾아 그 세계의 실존을 확신하고 소망하면서 살아가는 자가 순례자로서 이 세상의 삶을 사는 자입니다.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도 이 땅에 마음 둘 곳이 없이, 영구한 도성을 바라보며 순례의 길을 걸어갔다고 고백하고 있지 않습니까?(히 11:8-16)
셋째, 그러니, 성도는 결코 이 세상을 경멸하거나 무시하거나 염세적으로 도피하는 자가 아닙니다. 우리는 이 세상이 하나님께서 주신 ‘삶의 요람’으로 알기 때문에 이 세상을 통해 “하나님 앞에 어떻게 영광 돌릴까?”를 늘 생각하는 자들입니다.
끝으로, 우리의 나그네 여로(旅路)는 하나님께서 정해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삶의 분명한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달려가야만 합니다.
2020년 새해를 맞이하던 감격이 채 가시지도 않았는데 벌써 4월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루가 지났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의 본향이 가까워졌다는 말도 됩니다. 이제 얼마 남지 않는 본향을 향한 순례의 여정을 위해, 놓을 것은 놓고, 붙잡을 것은 붙잡아야 합니다. 이 세상을 놓고, 하나님만을 붙잡는 성도님들이 되시기 바랍니다.

결론:
요 14:1 말씀을 보면, “내 아버지 집에는 있을 곳이 많다”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 아버지 집을 향하는 순례의 여정에서 우리는 이제 막 다리를 통과하고 있습니다. 세상이라는 ‘다리’. 그곳은 오직 지나가는 나그네뿐입니다. 그곳에 누가 집을 짓고 정착하며 살겠습니까? “사람은 헛것 같고 그의 날은 지나가는 그림자 같다”(시 144:4)고 했습니다. 남은 우리의 생애, 이 세상에서는 나그네로서 서럽고 고통받는 삶을 살고 있지만, 우리에게는 가야 할 본향, 아버지께서 예비해 놓으신 영원한 처소가 있습니다. 이를 소망하며 낙심하지 말고, 오늘도 세월을 아껴 힘차게 전진하는 순례자들이 되시기 바랍니다.